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문학

한강 채식주의자 독서토론 - 사회와 개인

 

채식주의자 -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기준은?

 

 

 

 

 

채식주의자 맨부커 인터내셔널 상을 수상하면서 갑자기 확 유명해진 작품이라 예전부터 읽어야지 읽어야지 하다가 1주전에 다 읽었네요.

 

이 블로그에서는 문학책을 리뷰하는 것은 처음인데 조금은 이야기할 거리가 많은 책을 처음으로 포스팅하네요 ㅎㅎ

우선 제생각부터 말하자면 책을 읽는동안 그리고 읽고나서 이미 5일정도 지났는데 아직까지도 마음에 맺혀있는게 있네요.

책을 읽는동안에도 불편함을 지울 수 없었던것이 사실입니다.

계속 곱씹기도 하고 모임을 하면서야 이유를 조금은 알 것 같네요.

 

 

이 책은 연작소설입니다.

 

1장 채식주의자

 

2장 몽고반점

 

3장 나무불꽃

 

각각의 장은 주인공인 영혜와 관련된 사람들의 시점으로 이뤄집니다.

 

1장은 영혜의 남편

2장은 영혜의 형부 

3장은 영혜의 언니의 시점입니다.

 

1장 채식주의자

1장부터 이야기를 해보자면 영혜는 갑자기 꿈을 꾸면서 육식을 더 이상 하지 않겠다고 선언을 하면서 일어나는 이야기입니다.(좀 더 구체적인 이유가 궁금한데 찾기가 힘들었다. 그냥 갑자기 꿈을 통해서 육식을 하지 않겠어 이렇게 되었으니)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다수의 사람들의 시선이 계속해서 보여지며 급기야 영혜의 아버지는 뺨을 때리거나 억지로 입을 벌려서 탕수육을 먹이기도 합니다. 영혜의 남편 직장상사들과 모인 자리에서도 영혜는 육식을 하지 않아서 김치나 김, 밥 등을 먹는데 여기서도 은근히 사람들은 태연을 가장한 호기심과 아연함, 약간의 주저가 어린 경멸을 드러냅니다.

 

1장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다수에 의한 개인의 폭력인걸까? 아님 큰 시스템안에서 개인의 자유는 보장받지 못하는 것을 뜻하는걸까?

 

독서모임에서도 이야기가 나왔는데 모임멤버들이 가장 충격을 받았다고 한 장면은 위에있는 영혜가 고기를 먹지 않겠다고해서 아버지가 뺨을 때리고 입을 강제로 벌려 고기를 먹이려 하고 결국은 칼로 손목을 그어서 피가 흩뿌려지는 장면을 꼽았다.

영혜의 어머니 역시 니가 고기를 먹지 않으면 세상이 너를 잡아 먹을 것이라고 하면서 어떤식으로든 고기를 먹이려고 한다.

 

솔직하게 이야기를 하자면 나의 의견은 영혜의 아버지나 어머니의 의견쪽에 서게된다.

작가가 말하고자하는 것에는 물론 정상과 비정상의 나누는 기준이 무엇이냐도 포함되어있겠지만 우리는 개인이기 이전에 사회에 소속되어 있는 사람이다.

모임에서 한 멤버분이 이야기 한 것이 인상깊었는데 누구나 자신만의 페르소나를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 그 가면은 어느정도 썼다가 벗었다가 하면서 조절을 해야지 사회에서 생존이되고 구성원으로서 역할이 제대로 되어진다고 했다.

그치만 영혜의 경우는 가면을 벗는게 아니라 그냥 살가죽까지 한번에 단계를 거치지 않고 벗어버려서 주위의 모든 사람들이 힘들어지는 것이 아닐까?

 

이 이야기를 하면서 생각이 든게 내가 캐나다에 살았었을때는 확실히 채식주의자에 대한 관념이 많이 달랐던것이 번뜩 떠올랐다. 거기서는 건강을 위해 혹은 개인의 신념을 가지고 채식을 하는 분들을 많이 봤는데 캐나다인들은 그것에 대해 큰 거부감이 없어보였다.

오랫동안 노출이 되어 왔으니 사람들이 적응을 해서이려나? 우리도 이것들을 오랜시간동안 접하게 되면 거부감이 사라질까?에 대한 생각을 한다.

 

 

 

2장 몽고반점

사실 2장이 가장 그로테스크 했다. 처제에게 성욕 혹은 예술욕을 가진 형부의 이야기이다.

 

형부는 처제(영혜)가 엉덩이에 몽고반점이 있다는 것에 이상성욕이 발동해서 그걸 예술품으로 찍고싶어한다.

어떤이들은 형부가 영혜를 묘사하는 시점으로 볼 때 이미 어느정도 영혜에게 성욕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데 나는 그 의견은 반대다.

정말로 외설이 아닌 예술로서 그 몽고반점을 담고 싶어하는 예술욕도 차고 넘쳤을거라고 본다.

영혜 역시 본인이 나무 혹은 식물이 되는 느낌을 받았고 그랬기에 응했다고 본다.

개인적으로 최근에 미술학원을 다니면서 그림을 그리는데 무언가에 한가지 꽂히면 그것만 생각하게되고 꼭 해야겠다고 생각이 들 때가 있는데 형부 역시 그런 경우가 아니였을까?

 

우리는 무엇으로 예술과 외설을 나눌 것 인가? 나는 작가의 의도라고 본다.

물론 작중에서 형부와 영혜가 작품을 찍으면서 몸에 바디페인팅(식물)을 해서 하나로 합쳐지는 것이 외설이라고 볼 수도 있다. 삽입까지 했으니 말이다.

그치만 형부는 이것을 예술로 작품을 만들고 싶어했다고 이야기를 하는데 그 의도가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닐까? 우리가 보는 것은 오직 결과물 뿐이니 그 과정은 작품을 만드는 작가만이 안다고 생각한다.

만약에 들키지 비디오 테이프를 들키지 않았으면 영혜는 정신병원으로 가지 않았을테고 호전이 될 수도 있었을 수도 있다고 생각이 든다.

 

결국 영혜의 언니가 이 비디오를 보면서 모든 것이 끝나고 3부로 넘어가는 이야기가 되는데 3부까지의 이야기를 볼 수록 결국 영혜를 가장 잘 이해 했던것은 오히려 형부였다고 생각이 든다.

 

 

 

3장 나무불꽃

나무불꽃은 영혜의 언니 시점으로 진행이 되는데 2장 마지막에 정신병원으로 보내는 장면에서 끝이난 것에 대한 연장선의 이야기이다.

토론을 하면서 느꼈는데 어쩌면 내가 영혜의 언니 같은 사람이 아닐까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보면서 불편함을 느꼈을지도 모른다.

모든 영혜와 관련된 자들은 영혜를 버리고 정신병원에 가 있는 영혜를 모른척하고 버려버린다.

마지막까지 영혜에게 가는건 언니뿐이다. 아무리 정신병원에서 자신은 이제 식물이니 광합성만 해도 살 수 있다는 동생을 어찌 모른척 버리겠는가 나에겐 하나밖에 없는 동생인데 말이다. 

 

영혜처럼 모든 것을 그냥 놓아버리고 자기는 식물이라고 생각하면서 살아간다면 얼마나 편할까

그치만 많은 이들은 영혜의 언니처럼 모든 것을 놓지못하고 경계에 서서 모든 것들을 챙기며 살아가려고 아둥바둥한다.

영혜의 언니의 남편, 동생은 그녀를 힘들게하지만 마지막 희망인 아들을 보며 버틴다.

 

다시 영혜이야기로 돌아가서 영혜는 어린시절 아버지에게 폭력을 당하며 살아온다.

그녀가 어린시절 개한테 물린 적이 있는데 그때 그 개를 영혜 아버지가 오토바이에 달아서 계속 상처를 주면서 죽이는데 그 장면이 영혜에게는 큰 충격이였다고 나온다. 그런 죄책감들이 모여서 꿈에 나오게 된거고 비폭력적인 쪽으로 돌아선 것일까?

그치만 이렇게 이야기하기에는 채식을 하고 있을때 한번은 동박새를 물어뜯어서 상처를 주는데 이것은 너무 모순되는 장면이 아닌가

이부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잘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다.

 

 

전체적으로 정리를 해보자면  다수에 의한 혹은 큰 시스템 안에서 개인은 어떤식으로 살아갈 수 있는가 혹은 폭력이나 억압없이 지낼 수 있을까???

 

아직까지도 감정적으로 약간은 불편함이 남아있는데 또 다른 책을 읽고 털어버리고 다른 책 리뷰로 이야기를 할께요.